AWS/SAA
1. 클라우드 컴퓨팅과 AWS 개요
Ferrero Rocher
2022. 11. 13. 14:14
주요내용
- 클라우드 컴퓨팅과 다른 애플리케이션 및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의 차이점
- AWS 플랫폼이 안전하고 유연하게 가상의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하는 방식
- AWS 기반 리소스에 접근 및 관리하는 방식
- AWS 리소스 관리와 배포를 돕는 개발자 문서 및 도움말 활용방법
1. 클라우드 컴퓨팅과 가상화
*클라우드 컴퓨팅: 실제 자신이 물리적인 서버가 없더라도 누군가가 만들어둔 물리적인 서버를 돈을 지불하고 쓸 수 있게 하는 서비스 ex) Iaas, PaaS, S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IaaS)는 컴퓨팅, 스토리지, 네트워킹, 가상화 등 IT 인프라 서비스에 대한 주문형 액세스를 제공합니다. IT 리소스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제어하며 기존 온프레미스 IT 리소스와 가장 유사합니다.
- Platform as a Service(PaaS)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모든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리소스를 제공합니다. PaaS를 사용하면 기업은 기본 인프라의 관리 및 유지보수에 대한 부담 없이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Software as a service(SaaS)는 기본 인프라에서 유지보수 및 앱 소프트웨어 자체 업데이트에 이르기까지 전체 애플리케이션 스택을 서비스로 제공합니다. SaaS 솔루션은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업체에서 서비스와 인프라를 모두 관리하고 유지보수하는 최종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인 경우가 많습니다.
*가상화: 하나의 물리적 서버 형태로 존재하는 하드웨어 리소스를 여러 개의 작은 유닛으로 나누는 것.
*프로비저닝: 어떤 종류의 서비스를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시스템 자체를 제공.
1)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
클라우드 컴퓨팅 아키텍처는 스토리지, 메모리, 컴퓨트 사이클을 이용한 가상 서버를 제공하고, 활용 가능 리소스의 최적 이용이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워크로드 처리를 위해 on-demend 및 셀프서비스 기반의 컴퓨트 리소스 풀에 접속하며, 이에 따른 사용 내역은 정확하게 측정돼 사용량에 따라 과금된다.
2) 클라우드 컴퓨팅 최적화
클라우드는 확장성 및 탄력성을 지니고 있으며, 전통적인 시스템에 비해 훨씬 낮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변동성 높은 워크로드 처리를 위한 탁원한 선택이 될 수 있다.
- 확장성(Scalability): 확장성은 수요 증가에 따라 리소스를 증대시키는 개념. Aws 는 Auto Scaling을 사용하여 쉽게 구현 가능.
- Scale up : 기존 하드웨를 더 크게 교체
- Scale down : 서버를 추가하는 것

- 탄력성(Elasticity): 탄력성은 수요 감소에 따라 리소스를 감소시키는 개념을 포함.
- 비용관리(Cost Management): 사용자가 장기적인 수요의 관점에서 불필요한 자본적 지출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2. AWS 클라우드
- 컴퓨트: 물리적 서버를 클라우드에 복제한 개념의 서비스, Auto Scailing, Load Balencing
- 네트워킹: 애플리케이션 연결성, 액세서 컨트롤, 강화된 원격 연결성 제공
- 스토리지: 다양한 객체 저장 목적, 즉각 접근 및 장기적인 백업 기능을 제공
- 데이터베이스: 관계형, NoSQL, 캐싱 등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지원하는 dbms
- 애플리케이션 관리: aws 리소스에 대한 모니터링, 감사, 환경설정 기능
- 보안 및 권한 증명: 권한 인증, 권한 부여, 데이터 및 연결 암호화, 서드파티 인증과리 시스템과의 통합기능 제공
3. AWS 플랫폼 아키텍처
AWS는 전세계에 자사의 물리적 서버를 관리하기 위해 자체 데이터 센터를 운영 중이다.
데이터 센터는 리전(나라) 별로 여러개의 데이터 센터가 존재한다.
사용자는 자신과 더 가까운 데이터 센터에서 워크로드를 처리함으로써 네트워크 전송 지연을 줄일 수 있다.
AWS 계정으로 접속 가능한 물리적인 AWS 데이터 센터를 가용성 지역 또는 Availability Zone(AZ) 라 부른다.
